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안양시청
- K-클래식
- 오승록
- 안양시
- 소비자저널협동조합
- 고양시
- 정봉수 칼럼
- 탁계석
- 창경포럼
- 창업경영포럼
- 강남 소비자저널
- 최규태기자
- 강남구 소비자저널
- 강남구
- 용인소비자저널 #최규태기자
- 용인소비자저널
- 정봉수 노무사
- 안양
- 강남노무법인
- 고양특례시
- 케이클래식
- 소협
- 전우와함께
- 탁계석 회장
- 클래식
- 최규태
- 피아노
- 안양시장
- 김포시
- 음악
- Today
- Total
<공식> 창업경영포럼 ESM소비자평가단 대상 소비자저널 보도자료
전주 완산희현당사적비, 전북도로부터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지정 고시 본문
[전주시 소비자저널=최훈 기자] 조선시대 호남지역 인재 양성의 요람이었던 희현당의 건립 과정과 목적 등이 기록된 완산희현당사적비(完山希顯堂事蹟碑)가 도지정문화재로 지정된다.
전라북도는 전주신흥학교 교정에 위치한 전주 완산희현당사적비(完山希顯堂事蹟碑)를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로 지정한다고 18일 고시했다.
이와 관련 1700년 전라감사 김시걸이 직접 세운 교육기관인 희현당은 한강 이남에서 가장 먼저 건립된 영학(營學)으로, 이곳에서는 매년 53개의 고을의 수령으로부터 추천받은 우수한 유생 중 최종 30명을 선발해 양성했다.
현재 희현당은 사라지고, 그 터인 전주신흥학교 교정에 2개(사적비와 중수사적비)의 비석으로 구성된 전주 완산희현당사적비만 남아있다.
이 비석에는 희현당의 건립 과정과 목적, 운영 방법, 중수 등이 사실이 기록돼 있어 조선후기 교육 진흥의 실례로서 교육사적·역사적·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희현당은 창건된 이래 낡고 헌 건물이 여러 차례 중수됐으며, 1738년 전라감사 이주진의 경우 건물을 중수한 것 외에도 학칙 40여 조목을 마련하는 등 희현당 운영에 큰 힘을 쏟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완산희현당사적비에는 전라감사 김시걸·이주진의 업적이 기록돼있다.
서배원 전주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희현당은 전라도 인재양성의 요람으로 지금은 비록 비만 남아 그 터를 지키고 있다”며 “향후 희현당과 관련한 조사를 통해서 희현당이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그 중요성을 밝혀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희현당에서는 과거 교육교재를 만들기 위해 자체적으로 철활자를 제작해 여러 책을 편찬하기도 했으며, 희현당 철활자로 가장 먼저 편찬된 ‘정묘거의록’의 경우 그 가치를 인정받아 올해 초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받기도 했다.
'보도자료 및 언론 소비자평가 기본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원택 의원, 민주당 전국농어민위원장 재선출! (0) | 2022.11.18 |
---|---|
남원시, 사매 농촌 유토피아 LH 임대주택 입주자 모집! (0) | 2022.11.18 |
정읍시, 농업·농촌 공익기능 증진‘기본형 공익직불금’ 358억원 지급... (0) | 2022.11.17 |
전북개발공사-전남개발공사, 감사 전문성 및 청렴도 제고 위한 협력토대 마련... (0) | 2022.11.17 |
전주시설공단, 친환경 발전설비 ‘수소 연료전지’ 도입... (0) | 2022.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