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최규태기자
- 소비자저널협동조합
- K-클래식
- 정봉수 노무사
- 안양시장
- 강남 소비자저널
- 전우와함께
- 용인소비자저널
- 최규태
- 탁계석
- 음악
- 피아노
- 소협
- 클래식
- 오승록
- 정봉수 칼럼
- 창경포럼
- 탁계석 회장
- 용인소비자저널 #최규태기자
- 안양시청
- 케이클래식
- 강남구 소비자저널
- 안양
- 강남구
- 강남노무법인
- 창업경영포럼
- 안양시
- 고양특례시
- 고양시
- 김포시
- Today
- Total
목록클래식 (96)
<공식> 창업경영포럼 ESM소비자평가단 대상 소비자저널 보도자료
▲사진=임준희 작곡가, 오현규 현, 난파기념사업회 이사장 ⓒ강남 소비자저널 [강남 소비자저널=김은정 기자] 한민족의 우수한 예술 역량을 작품화하여 글로벌 문화영토 확장을 기치로 세계 브랜드를 만들고 있는 K- 클래식에 경사가 났다. K-클래식 대표작인 칸타타 한강과 이를 작곡한 임준희 작곡가에게 올해 제 50대 난파상의 수상(受賞)이 주어졌다. (2018년, 10월 18일 경기도문화의전당대극장) 난파음악상은 자타가 공인하는 한국 최고의 상으로 그간 1968년 제1대 정경화를 시작으로 금난새, 백건우, 김대진. 조수미, 장한나, 손열음, 이영조, 윤학원 등 한국을 빛낸 음악인들이수상했다. 경기도음악협회(회장: 오현규)는 이번 50주년 난파음악제를 ‘미래를 행해. 새로움’이란 슬로건을 내 걸었다. 그동안 난..
- 대구 아양아트센터에서 11월 3일 ‘송 오브 아리랑’ 합동공연 - ▲사진=아리랑코러스 대구 창단 기념 포스터 ⓒ강남 소비자저널 [강남 소비자저널=김은정 기자] ‘칸타타 한강’으로 티켓 매진 돌풍을 일으킨 아리랑코러스서울(예술감독: 이병직)이 아리랑코러스대구(예술감독: 허윤성)를 출범시킨다. 오는11월 3일 대구에서의 합동연주회에서 탁계석 대본, 임준희 작곡의 ‘송 오브 아리랑’을 공연하면서 첫 항해를 시작한다. 창원, 대전, 광주로 이어지는 아리랑코러스의 탄생이다. 아리랑코러스는 2014년 창단된 단체로 전 세계와 국내에 우리 소재의 창작 작품을 만들어 지구촌 문화영토를 넓힐 목적에서 창단되었다. 이미 지난 9월 아리랑코러스는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칸타타 한강’으로 관객의 뜨거운 호응을 받아 아마..
국악관현악단을 ‘Gugak Orchestra’,‘K-오케스트라’어떤게 좋을까요? ▲사진=k-클래식 창안자 탁계석 한국비평가협회장 ⓒ강남 소비자저널 [강남 소비자저널=김은정 기자] K-클래식 창안자 탁계석회장이 전하는 ‘K-오케스트라’ 이야기_K-Orchestra를 말하다_2 브랜드 사용은 소비자의 입맛이 결정하는 것 지금은 이태리에서만 만들지는 않지만 ‘피자’나 ‘스파게티’하면 이태리를 떠올린다. ‘와인’하면 프랑스를 떠 올리고, ‘보드카’ 하면 러시아를 떠 올린다. ‘실크’ 하면 중국이 아닌가. ‘아리랑’은 바로 한국이지만 ‘김치’는 일본의 ‘기무치’가 더 알려졌다고 한다. 일본이 선점한 것이다. 이처럼 세계의 브랜드가 명사화가 된 것들은 그 오랜 전통과 명성 때문이다. 그렇다면 한국의 國樂(국악)을 ..
▲사진=월드브릿지오브 컬처 모지선 회장의 포스터 ‘K-CLASSIC 그리다’ ⓒ강남 소비자저널 [강남 소비자저널=김은정 기자] 지난 12일 오후 1시 경 K-클래식탁계석회장으로부터 ‘K-오케스트라’에 대한 견해를 카톡을 통해 알려와 소개한다. K-Orchestra 란?사전에 국악을 ‘Korean classical music’ 혹은 ‘Korean folk music’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국악관현악단을 ‘Gugak Orchestra ’로 표기한다. 이게 좋으면 이 용어를 쓰면 된다. 그러나 K-POP이 설명하지 않아도 세계와 소통되는 오늘의 젊은이들의 음악이 되었다. 그렇다면 국악 역시 ‘K-Orchestra’로 표현한다면 쉽게 알아들을 수 있지 않을까. 이때‘K’–는 한국을 가르키는 것이니까 창작 즉 ..
Composition 박영란 미국 메릴랜드 주립대학교 학사, 석사, 박사 "2001 국제현대음악협회(ISCM) 작곡콩쿨" 우승, "2008 대종상 음악상" 후보(영화 "기담") 문화체육관광부 주최"2015 국가브랜드 공모전 " 음악부문 최우수상 수상 시사투데이 선정 "2016 자랑스러운 한국인" 문화인 대상 수상 (사)한국여성작곡가회 제17대 회장 역임 현재 (사)한국여성작곡가회 고문, 수원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교수
왕명숙 서울예고, 이화여자대학교 피아노전공 수석졸업 및 동대학원 석사 미국 맨하탄음대 석사 총장상 졸업,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박사 뉴욕 링컨센터 독주회 및 뉴욕 카네기홀 데뷔독주회 미국 아티스트 인터내셔널 콩쿨 최우수상, 팜비치국제피아노콩쿨 특별상 및 초청독주회 국제피아노콩쿨협회 연주상 수상 및 초청독주회 경기예고주최 전국예능경연대회, 홍천음악콩쿨 심사위원
모혜경 피아니스트 한양대학교, 피바디음대 석사및 전문연주자과정, 메릴랜드대학 박사취득 Josef Hofmann competition,Yale Gordon competition 등 입상 Dame Myra Hess Concert, 금호 아트홀, 예술의전당 독주회 현재 단국대학교, 상명대학교대학원 출강 및 앙상블시락 및 아미쿠스피아노콰르텟멤버
이현정숙명여대 및 동대학원 졸업, Boston University 석사졸업,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졸업 현재 명지대학교 음악학부 겸임교수, 숙명여대대학원, 명지대사회교육원, 선화예중·고, 계원예고, 경기예고 출강. 한국피아노두오협회이사
김희정예원, 서울예고, 서울대학교 기악과 졸업미국 이스트만 음악대학교 '피아노 연주 및 문헌' 석사 및 박사학위 취득현재 서울교대, 추계예대, 충남대 출강
신민정 피아니스트 서울대 학사 졸업, New England Conservatory of Music 석사 및 연주자과정 졸업 The University of Minnesota 박사졸업 서울대 음악이론전공 박사과정 재학 중 현존하는 영국 작곡가 Peter Seabourne의 피아노 독주곡집 1권 음반 발매(Gramophone 리뷰) KBS 라디오 및 Minnesota Public Radio 실황연주 방송 현재 삼육대 외래교수, 국립 순천대, 용인대, 선화예고 출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