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강남 소비자저널
- 김포시
- 안양시장
- 탁계석 회장
- 창업경영포럼
- 안양
- 소협
- 최규태
- 전우와함께
- K-클래식
- 강남구 소비자저널
- 고양특례시
- 오승록
- 강남구
- 최규태기자
- 창경포럼
- 안양시
- 정봉수 칼럼
- 안양시청
- 강남노무법인
- 고양시
- 케이클래식
- 정봉수 노무사
- 음악
- 탁계석
- 클래식
- 용인소비자저널
- 소비자저널협동조합
- 피아노
- 용인소비자저널 #최규태기자
- Today
- Total
<공식> 창업경영포럼 ESM소비자평가단 대상 소비자저널 보도자료
[김성철 칼럼] 들꽃 향기 가득한 춘단씨의 음식 이야기 본문
-자연과 사람을 이어주는 어울림의 식탁
[강남구 소비자저널=김성철 칼럼니스트]
부산 기장, 남도음식, 들꽃이 있는 집
들꽃은 인간이 의도적으로 파종 또는 재배하지 않은 야생(들)에서 자라는 꽃이다. 神이 창조한 두가지, 자연과 인간은 태생적으로 서로를 연모하는 운명 공동체다. 그래서 재배되지 않은 들꽃은 치장 없이도 우리에게 낯설지 않다. 들꽃은 이름을 뽐내지 않는다. ‘들꽃이 있는 집’은 수라연, 서라벌, 한가람 등 요즘의 세련된(?) 한정식집 이름과는 다른 느낌으로 다가왔다. 그저 크게 가공하지 않은 단층의 소박한 식당 외양과 장승처럼 대범한 입식 간판은 묘한 안도감을 선사한다. 인공적(Artificial)이지 않아 자연스럽고(Natural) 투박한 평온함이다. 제 철 들꽃인 유채꽃 연꽃 금어초 라일락, 백합, 호박꽃, 팬지 찔레꽃은 장식을 너머 대접받는 기쁨을 더해준다. 분야를 가리지 않고 숨겨진 재야의 고수를 만나는 것은 설레는 기쁨이다. 혼자 누리기 분에 넘쳐 누군가를 떠올리게 하는 음식과 사람, 남도의 속내를 부산 기장에서 만났다. 주인장의 넉넉함 뒤편에 숨은 사연이 궁금해졌다.
주인장 김춘단
비빔밥, 전주백반, 한정식, 콩나물국밥, 홍어회, 나주곰탕, 젓갈, 꼬막회 ‘남도음식’은 어쩌면 전라도 지역이 정치 역사적으로 소외되었던 역사적 배경과 다양한 재료를 활용할 수 있는 지리적 특성이 70-80년대 산업화의 상대적 향수로 생겨난 용어로 추측할 수 있다. 농업이 특화되어 전통음식의 보존에 유리했던 것도 사실이다. 다양한 음식 종류와 넉넉한 인심, 비장의 손 맛은 남도음식의 특징이다. 그러나 점차 대도시 중심으로 정형화되어 가며, 남도음식의 본질을 발견하기는 쉽지 않다. 그런 이유로 ‘들꽃이 있는 집’은 의미있다.
‘들꽃이 있는 집’의 주인장은 김춘단이다. 지금은 치유의 숲으로 유명한 완도 약산 태생이다. 퍽퍽한 시절 어려서부터 일곱 남매 살림과 겨우내 미역 다듬기가 일상이었다. 작은 위안이라곤 넓은 들판, 하늘과 땅, 꽃이 전부였다. 그녀의 별칭이 꽃순이 인 것도, 첫 만남에서 자연이 떠오른 것도 어쩌면 당연했다. 완도에서 나고 자란 그녀가 자연과 생활의 고단함을 안고 스무살 남짓 섬을 탈출(?)한다. 그녀에겐 거리상 가까운 부산이 만만했는지 모른다. 그러나 지역 감정이 가득한 구박의 부산 텃세를 견디며 결이 다른 버거운 생활을 견뎌야 했다. 수많은 곡절 속에서도 하기 싫던 음식은 생존의 무기이자 삶의 위로가 될 수 밖에 없었다. 이젠 세월이 흘러 칠십 평생 몰입과 시행착오를 통해 경험하며, 생활음식으로 쌓은 내공은 물어 물어 찾아오는 까탈스러운 미식가들의 찬사를 듣는 경지가 되었다. 누군가의 칠십 년 몰입을 맛보는 것은 기쁨이고 경외다. 스스로 만들어 입는다는 그녀의 옷매무새에도 통찰의 음식처럼 요란하지 않은 내공이 엿보인다.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 오래 보아야 사랑스럽다. 너도 그렇다’나태주의 시 ‘풀꽃’의 빛바랜 구절이 식당 벽에 붙어있다. 춘단씨에게 건내는 고백같다. 아름답다의 어원이 ‘나답다’라면 그녀는 아름답다. 자연을 복사한 음식도 자연과 동행하는 사람도 지금도 여전히.
자연을 옮겨 놓은 식탁
춘단씨는 오늘도 삭히고, 삶고, 무치고, 찌고, 지지고, 끓이고, 조리고, 굽는다. 고집스럽게 창의적인 춘단씨의 음식은 그래서 뜻밖이고 정겨우며 익숙한 듯 새롭다.
연잎잡곡밥, 된장국, 간장돌게장, 찐새우, 육전, 낚지전, 민어조기튀김, 홍어무침, 돼지수육, 버섯전, 미역무침, 연근조림, 배추김치, 갓김치, 파김치, 오이지, 양파지, 깻잎, 고사리무침, 제철나물. 철마다 종류가 변하지만 식탁의 구성은 자연을 그대로 옮겨 놓았다.
이어령은 “우리 음식은 밥의 텅 빈 맛을 반찬의 맵고 짠 자극적인 맛의 조화로 싱싱하게 살아난다. 한국의 음식은 이 관계의 틈새에서만 존재한다. 함께 어우러짐으로써 손등과 손바닥처럼 떼어낼 수 없는 일체형의 맛과 의미를 자아내는 거시 한국음식이며 한국인이 추구하는 삶의 철학이기도 하다”고 했다. ‘平和’가 본래 ‘평평한 식탁(平)에서 음식(和)을 나누는 풍경을 그린 한자인걸 생각하면 음식을 나누는 일은 평화에 다름 아니다. “저희 음식은 가족이든, 동료든 연인이든 한 상에 모여야 비로서 일체감을 느끼게 돼요. 아마 인간의 외로움도 홀로 먹는 것으로 시작되지 않았나 싶어요”. 춘단씨는 나지막이 이야기한다. “창원에서 부모님 뵈러 부산 온 거 들으시고 잡곡밥이랑 오이지 반찬 싸서 주시는 인심이 감동이었어요. 조만간 다시 와서 다른 정식도 뿌시고 올거에요!” 블로거 하하호호의 글이 춘단씨의 나누는 DNA를 보는 것 같아 따뜻하다. 오늘도 춘단씨의 음식이 한 공간 같은 시간에 자연과 사람을 이어준다. “형편이 허락한다면 넓은 땅을 갖고 싶어요. 꽃나무 가득 심고, 음식도 준비해서 좀더 많은 사람들과 함께 나누며 살고 싶어요”
2월 중순 춘단씨 가슴에 봄꽃이 활짝 폈다.
▲사진= 연잎잡곡밥정식(15,000원)/들꽃정식,간장게장정식(20,000원) ⓒ강남구 소비자저널
*뒷담화 : 춘단씨는 氣치료의 숨은 고수인 남편과 함께 살고 있으며, 자녀로는 미국에서 배우 겸 프로듀서로 활동하는 큰아들 김종만과 며느리인 배우 김태희, 부산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조각가 둘째아들 김종선이 있다.
'보도자료 및 언론 소비자평가 기본정보 >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봉수 칼럼] 외국인근로자의 사회보험 적용 (1) | 2024.02.18 |
---|---|
[인터뷰] "종이를 버려야 지구가 산다" 굿스테이지 송인호 발행인 (1) | 2024.02.18 |
[탁계석 리뷰] 대통령실 합창단 최고의 선물이자 호소력 넘친 감동의 메시지 (1) | 2024.02.12 |
[정봉수 칼럼] 연차휴가 부여방식 (0) | 2024.02.12 |
[정봉수 칼럼] 독서실 총무의 근로시간 인정여부 (2) | 2024.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