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공식> 창업경영포럼 ESM소비자평가단 대상 소비자저널 보도자료

전주시, 전주 교육 혁신 위해 14개 기관 협약식...인재 양성 및 정주 기반 조성 본문

보도자료 및 언론 소비자평가 기본정보

전주시, 전주 교육 혁신 위해 14개 기관 협약식...인재 양성 및 정주 기반 조성

전주 지킴이 2024. 6. 11. 18:54
반응형

▲사진*전주교육발전특구사업 협약식

[전북 소비자저널=최훈 기자] 전주시와 교육청, 지역대학, 공공기관, 연구소, 지역기업이 전주 교육의 혁신을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다.

전주시는 11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지역의 공교육을 혁신하고, 지역인재의 양성 및 정주를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공모를 위한 업무 협약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우범기 전주시장과 김정기 전주교육지원청 교육장, 양오봉 전북대학교 총장, 이해원 전주대학교 부총장, 박병춘 전주교육대학교 총장, 이은미 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장, 김보국 전북연구원 본부장, 윤여봉 전북특별자치도 경제통상진흥원장, 김선영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본부장, 박미자 전주시정연구원장, 이영로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장, 백형희 한국식품연구원장, 강동오 ㈜강동오케익 대표, 김요섬 농업회사법인 ㈜디자인농부 대표 등 14개 기관 대표들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시와 13개 협력기관은 교육발전특구 공모사업 선정과 내실 있는 사업 운영을 위해 긴밀히 협력키로 뜻을 모았다.

특히 각 기관은 전주교육발전특구 비전과 운영기획 방향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앞으로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지정을 위해 적극 협력해 나가기로 다짐했다.

이와 관련 교육발전특구는 지자체와 교육청, 대학, 지역기업, 지역 공공기관 등이 협력해 지역발전의 큰 틀에서 지역교육 혁신과 지역인재 양성 및 정주를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체제로, 시범지역으로 선정되면 특구당 30~100억 원의 국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주관기관인 전주시와 전주교육지원청, 12개 협력기관 등 14개 기관이 함께하는 전주교육발전특구는 지역의 강점을 활용한 음식 등 다방면 분야의 지역인재 양성 시스템 구축, 공교육 혁신, 대학 협력 및 정주 여건 개선 등을 목적으로 추진될 예정이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교육은 전주의 미래를 여는 핵심이자 지역 발전의 성장 동력이다"며 “돌봄 시스템 구축부터 지역 청년의 취업·정주 여건 개선까지 혁신적인 전주교육발전특구 모델을 마련해 시범지역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