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안양시
- 안양
- 용인소비자저널
- 강남노무법인
- 고양특례시
- 소비자저널협동조합
- 탁계석
- 강남구 소비자저널
- 오승록
- 창경포럼
- 용인소비자저널 #최규태기자
- 소협
- 전우와함께
- 고양시
- 정봉수 노무사
- 강남 소비자저널
- 강남구
- K-클래식
- 탁계석 회장
- 창업경영포럼
- 최규태기자
- 피아노
- 정봉수 칼럼
- 김포시
- 최규태
- 안양시장
- 케이클래식
- 클래식
- 안양시청
- 음악
- Today
- Total
<공식> 창업경영포럼 ESM소비자평가단 대상 소비자저널 보도자료
2020년 전북 개별공시지가 결정·공시 본문
[전주시 소비자저널=최훈 기자] 전라북도는 2020년도 1월 1일 기준 개별공시지가를 29일자로 결정·공시했다.
‘20년 도내 개별공시지가 변동률은 4.47%로 전국 개별공시지가 변동률 5.95%보다 약간 낮은 편이다.(‘19년 전북 변동률 5.34%)
전북도내 개별공시지가의 조사대상 토지는 총 2,716,271필지이며 (도 전체 필지 3,819,285필지의 70%), 시장·군수가 2020년 1월 1일 기준 개별공시지가를 산정해 공시한다.
도내 개별공시지가 최고지가는 전주시 완산구 고사동 구 현대약국 부지이며 7,050,000원/㎡, 최저지가는 남원시 산동면 대기리 임야 221원/㎡이다.
시·군·구별로 살펴보면 최고 상승지역은 장수군(7.13%)으로 주거단지 조성과 실거래가 반영된 표준지의 현실화로 상승했고, 최저 상승지역은 군산시(0.97%)로 구도심지역 인구 및 상권이동 영향이 나타났으며, 그 외 실거래가 현실화율을 반영한 순창군(6.76%), 고창군(6.28%), 부안군(6.01%)이 상대적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도내 개별공시지가 주요 상승요인으로는 전주 효천지구 개발과 구도심 재개발사업, 국가식품클러스터 조성 등 산업단지 조성과 삼봉도시개발 사업, 전원주택지 조성 등이며 대부분의 시·군이 실거래를 참고한 지가현실화 반영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개별공시지가는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등의 과세표준과 개발부담금 등 각종 부담금의 부과기준으로 활용되며, 그동안 토지 특성조사와 감정평가사의 검증 및 주민의견 수렴 등의 절차를 거쳐 시·군·구 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결정됐다.
개별공시지가는 해당 시·군·구 토지관리부서 및 전라북도 홈페이지 토지정보(http://klis.jeonbuk.go.kr) 또는 일사편리 전북부동산 정보조회시스템(http://kras.jeonbuk.go.kr) 사이트에 접속해 토지 소재지 및 지번을 입력하면 열람할 수 있다.
도 관계자는 “토지소유자와 이해관계인 등에게 개별통보가 되지 않으므로 토지소유자와 이해관계인은 열람 등을 활용해 결정지가를 확인 후, 5월 29일부터 6월 29일까지 토지소재지 해당 시·군·구 토지관리부서에 이의신청을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보도자료 및 언론 소비자평가 기본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넥실리스, 전라북도에 1,200억원 증설투자.. (0) | 2020.06.01 |
---|---|
전북개발공사, 지역건설경기 활성화에 동참.. (0) | 2020.05.29 |
전북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 순창소방서 개청식 참관 (0) | 2020.05.29 |
무주군, 일제 방역의 날 운영 (0) | 2020.05.29 |
순창‘페이지’청춘마이크 전북권 선정 (0) | 2020.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