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공식> 창업경영포럼 ESM소비자평가단 대상 소비자저널 보도자료

전 세대의 문화의 장 2023JUMF...다채로운 음악 향연 본문

보도자료 및 언론 소비자평가 기본정보

전 세대의 문화의 장 2023JUMF...다채로운 음악 향연

전주 지킴이 2023. 6. 17. 14:29
반응형

▲사진*2023 전주얼티밋뮤직페스티벌 포스터

[전주시 소비자저널=최훈 기자] 2023 전주얼티밋뮤직페스티벌 (이하 JUMF)의 개최가 두 달 앞으로 다가왔다. JUMF는 2016년부터 시작해, 8년째 지역을 대표하는 음악 페스티벌로 위상을 지켜나가고 있다. 
 
전주MBC 2023JUMF본부에 따르면 이번 축제는 풍성한 대중음악의 장르를 전주시 전역에서 만날 수 있도록 확장하고 확대 돼 내용과 규모에서 더욱 성장하고 있는 페스티벌의 위상을 직접 느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지난 16일 밝혔다.
 
올해 JUMF는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를 맞아 교육청과 협력해 8천 명의 국내외 청소년을 초청할 계획이고, 형편이 어려운 도내 청소년 1천 명을 무료로 초청해 축제의 공익성 또한 강화하고 있다. 

▲넓고도 깊은 대중음악의 스펙트럼이 빛나는 프로그램 구성
최근의 공연문화는 힙합이면 힙합, 발라드면 발라드처럼 한 장르에 국한된 공연들이 많다.  이러한 공연들과 차별화된 JUMF는 정통 록부터 EDM, 힙합과 K-POP, 블루스와 인디밴드까지 대중부터 마니아들 모두를 아우른다. 

금요일(8월11일)에는 세계최고의 인기콘텐츠인 K-POP  공연을 시작으로 토요일(12일)에는 록, 헤미메탈, 힙합이, 일요일(13일)은 어쿠스틱한 발라드부터 락까지 준비 돼 있다. 

일요일(13일)에는 한국레이블협회(LIAK)과 JUMF가 선발하고 선정한 5팀의 무대가 준비 돼 있다. 인디씬을 이끌어갈 잠재력과 예술성을 겸비한 신진 아티스트들의 무대 또한 특별한 프로그램으로 주목 된다.
  
대중음악의 다양성 확보와 매니아 펜들을 위한 별도 무대도 마련된다. 8월 12일 토요일 객리단길 클럽 ‘더 뮤지션’에서는 블루스소사이어티와 JUMF가 공동으로 기획한 특별한 블루스밴드 공연이 진행 될 예정이다. 

로다운30, 하헌진밴드, 리치맨과그루브나이스, CR태규 트리오, 마인드바디앤소울 등 한국대표 블루스밴드 5팀의 공연이 펼쳐진다. 
 
일요일 무대에서는 헤미메탈 전문 레이블 유니언스틸과 공동으로 기획된 귀한 프로그램이 공연 된다. 빅토르스몰스키(독일), 고바야시신이치(일본), 김재하, 박영수, AURA 등 국내외를 대표하는 초절정 록기타리스트들의 독주와 협연은 2023년 전주 JUMF에서만 볼 수 있는 이벤트로서 국내외 록 매니아들의 가슴을 설레게 하고 있다. 
 
토요일과 일요일 원도심의 버스킹존에서는 전국에서 모인 12팀의 대학생들의 버스킹도 개최될 예정이다. 단 3일간의 공연이지만 다양한 장소에서 즐기는 특별한 무대들을 통해 폭넓은 음악 장르를 향유할 수 있는 점이 의미가 있다.

▲지방 소멸의 위기를 음악으로 극복하는 페스티벌 
JUMF는 전주시민뿐만 아니라, 외부 관람객의 참여도도 높다. 공연문화의 주 요점지인 서울, 수도권이 아닌 전주에서 열려도 축제에 열광하는 관람객을 대거 이끌 수 있다는 것이다. 

본 공연은 수도권 거주자와 타지역주민 모두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차원에서 기획되었기 때문에 셔틀버스 또한 기존보다 확충하여 더 편하고 쉽게, 저렴하게 즐길 수 있도록 했다. 기존 서울, 대전, 광주, 대구, 부산에서 셔틀을 이용했다면 인천, 수원, 울산이 추가됐다.
 
JUMF는 해를 거듭할수록 잠시 들리는 축제가 아닌 즐기고 머무는 체류형 페스티벌로서  정착해 가고 있다. 

한국관광공사의 국민여행조사(2021)에 따르면 3일간의 JUMF 페스티벌 개최를 통해 발생하는 지역경제 효과는 당일 방문 국내 여행객이 9억원, 숙박여행객이 19억원, 해외방문객 관광객의 경우 최대 131억(한류관광시장조사연구2020)으로 추산되며 최대 160억에 이르는 지역경제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관람객들과의 소통
이번 축제에서 주목할 점은 또 있다. 바로 새로운 방식으로 관람객들과 소통한다는 것이다. 

먼저 숏 플랫폼 중 가장 인기 많은 틱톡을 새롭게 개설하여 다채로운 영상으로 대중에게 다가갈 전망이다. 또한 3일간의 페스티벌이 유튜브 라이브를 통해 전세계에 라이브 스트리밍될 예정이다. 
 
티켓 구매 또한 기존 네이버, 티켓링크, 인터파크에서 했다면 YES24, 멜론티켓, 전주mbc 풍남상회 세 곳을 추가 확대했다. 그 중에서도 풍남상회는 라이브커머스 티켓판매로 관람객들과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티켓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밖에도 다양한 이벤트를 구상중이며 더 많은 관람객 유입을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