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공식> 창업경영포럼 ESM소비자평가단 대상 소비자저널 보도자료

전북연고 국회의원 초청 도정현안 간담회 본문

보도자료 및 언론 소비자평가 기본정보

전북연고 국회의원 초청 도정현안 간담회

전주 지킴이 2019. 8. 27. 17:06
반응형

전북연고 국회의원 초청 도정현안 간담회▲사진*전북연고 국회의원 도정현안 간담회 개최ⓒ



[전주시 소비자저널=최훈 기자] 전라북도(도지사 송하진)가 전북 대도약을 이룰 예산 확보를 위해 서울에서 전북연고 국회의원을 초청해 도정현안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자리에는 송하진 도지사를 비롯해 더불어민주당 정세균 의원, 안규백 의원, 김병관 의원, 백재현 의원, 이학영 의원, 바른미래당 임재훈 의원, 정의당 심상정 의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20년 국가예산 확보 등 지역 현안을 공유하며 초당적으로 협력할 것을 다짐했다.


도는 먼저, 내년도 정부안에 과소·미반영된 필수 예산사업의 지원 필요성과 절박성을 설명하고 적극적인 지원과 협조를 요청했다.


식품·종자·미생물 등 농생명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아시아스마트농생명밸리 육성을 위해 ’복합미생물 산업화기반 구축‘ 14억원, ’국립간척지 첨단농업연구소 건립’ 20억원과 국가식품클러스조성 252억원 등 국회단계 예산 반영 건의를 했다.


또 기존 주력산업의 고도화, 산업구조 다각화 및 미래 신산업 육성을 위해 ’생체적합성 신소재의료기기산업육성’ 14억원 ‘중고자동차 수출복합단지조성‘ 50억원, ’대체부품산업 생태계 구축’ 45억원’, 해상풍력전문연구센터 구축‘ 80억원 등 예산반영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도로·공항·항만 등 새만금 SOC 조기 구축으로 국내외 투자유치를 위해 ‘새만금 신항만 접안시설’ 2개선석에 조성에 필요한 76억원, ‘새만금상수도시설건설’ 10.8억원, ‘새만금잼버리대회 기반시설 설치비’ 35억원 등 예산이 확보될 수 있도록 요청했다.


전북의 뿌리를 찾고 정체성을 확립하여 도민의 자존의식을 높여나가기 위해 ‘전라유학진흥원 설립’ 5억원, ‘전라천년문화권광역관광개발계획’ 5억원, ‘장수가야유적복원정비사업’ 24억원, ‘출판산업복합클러스터 조성’ 5억원 등 반영을 요구했다.


또한 동부권 지역 등 균형발전 촉진을 위한 기반시설 설치 및 지역개발 견인을 위한 도로?철도망 확충을 위해 ‘지리산친환경 전기열차’ 도입에 필요한 시험노선 설계용역비 20억원, ‘호남고속도로 삼례~김제 확장’ 30억원, ‘국립지덕권 산림치유원 조성’ 50억원 등 예산반영도 피력했다.


도는 시급한 지역 현안사업으로 군산조선소 조기 재가동 및 GM 군산공장 활용방안으로 논의 중인 전북 상생형 일자리 모델이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을 요청했다.


법률 제·개정이 필요한 부분으로 최근 일본 수출규제(‘19.8.2)를 계기로 탄소섬유 등 첨단소재에 자립화 및 탄소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설립(탄소소재법 개정), 국립공공의료대학원 설립(국립공공의료대학법 제정), 원전관련 지방세법 개정(지역자원시설세 개정), 새만금 사업법 개정을 위해 제·개정안이 국회에서 조속히 통과될 수 있도록 논의했다.


아울러, 국토부에서 수립 중에 있는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 제5차 국도·국지도 건설 5개년계획에 우리도 중점 SOC 사업이 국가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기로 했다.


시군별 국가예산 등 주요 현안으로 전주 ’법조삼현로파크 건립‘ 10억원, ’군산 ~ 어청도 항로 노후여객선 대체건조비‘ 60억원, 익산 ’일반산업단지 진입도로 개설공사‘ 129억원 등 예산확보도 공조키로 했다. 


송하진 도지사는 이 자리에서 “전북도는 탄소산업을 중심으로 특정국에 대한 소재 의존을 벗어나는 동시에 소재 강국 대한민국을 만드는데 앞장서고 있다”면서, “전북의 역사를 바꿀 탄소산업이 제대로 꽃을 피울 수 있도록 탄소산업진흥원 설립 등 전북 발전에 꼭 필요한 법안, 군산조선소 조기재가동 등 현안과 내년도 국가예산 확보에 전폭적인 힘을 실어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도는 향후 예산심사가 본격 시작되는 10월말에 앞서 정부예산안 과소·미반영된 중점 사업에 대해 국회의원별로 사업 역할분담과 정치권을 대상으로 예산정책협의회를 수시로 개최하는 등 국회단계 예산증액을 위해 중점 대응할 방침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