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공식> 창업경영포럼 ESM소비자평가단 대상 소비자저널 보도자료

[김종우 칼럼] 반려동물산업에세이_91 성장하는 국내·외 반려동물 연관 산업 현황 본문

보도자료 및 언론 소비자평가 기본정보/칼럼

[김종우 칼럼] 반려동물산업에세이_91 성장하는 국내·외 반려동물 연관 산업 현황

강남구 소비자저널 2024. 6. 27. 14:42
반응형

▲사진=김종우 대한반려동물협회 회장 ⓒ강남구 소비자저널

​[강남구 소비자저널=김종우 칼럼니스트]

 

반려동물 산업은 1인 가구 증가, 인구 고령화 등에 따른 반려동물 양육 증가와 동물 지위 상승 등으로 제품·서비스 수요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고용 규모도 20193.1만명에서 2025년에는 4.6만명으로 연평균 6.4% 증가할 것으로 전망한다.

국내외 반려동물 연관 산업의 동향

국내 시장 상황

국내 반려동물(, 고양이)2012566만 마리에서 2022799만 마리로 증가하고, 양육 가구는 2012364만 가구에서 2022602만 가구로 증가, 양육 가구 비율은 전체 가구의 17.9%에서 25.4%로 증가하였다.


국내시장 규모는 20228조원으로 세계시장에서 작은 수준이며, 내수시장 중심으로 성장 중이며, 펫푸드는 수입의존도(해외 53%)가 높으며, 향후 국내시장 규모는 8조원(2022)에서 약 20조원(2032)으로 연평균 9.5% 증가할 전망이다.

 

분야별 전망

펫테크 시장이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규모가 큰 펫헬스케어, 펫푸드 시장도 연 11%, 6%대 성장할 것으로 추정되며, 2022년 국내시장 규모는 펫헬스케어(동물의료 포함) 2.6조원, 펫푸드 1.8조원, 펫서비스 3.5조원(테마파크, 운송 서비스, 반려동물 여행 서비스 등 포함), 펫테크 1천억원 순이다.

▲사진=반려가구의 반려동물 월 양육비 현황(출처 : 「2023  寒國반려동물보고서」, KB 금융지주 : 경영연구소) ⓒ강남구 소비자저널

 

 

 

기업 현황

·중견기업은 M&A, ·간접 투자, 계열화 형태로 시장 참여하고, 선도 스타트업은 해외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고 투자 유치를 하고 있다.

수출입 현황

품질 제고, 한류 확산 등으로 펫푸드 수출 확대하고, (20161,300$ 202214,900$) 다만, 펫푸드 수입액도 늘어 무역수지 적자도 202219800만 불로 확대되고 있으며, 미국 등 선진국에서 첨단 펫테크 제품 수요 확대로 수출 확대 중이다.

 

글로벌 반려동물 연관 산업 동향

시장 전망

2022년에서 2032년까지 연평균 약 7.6% 성장 될 것으로 추정되고, 글로벌 기업은 인수합병·투자 등으로 전문화·규모화하고, 시장 지배력 확대 중이다.

2. 분야별 전망

펫헬스케어(48.8%, 1,811억 달러), 펫푸드(32.8%, 1,233), 펫서비스(16.8%, 625), 펫테크(1.3%, 50) 순으로 글로벌 시장 구성되고, 디지털 헬스케어, 스마트기기 등 펫테크 성장률(연평균 12.7%)은 펫서비스(9.1), 펫헬스케어(7.7), 펫푸드(6.1) 등 분야별 시장 성장률을 크게 상회하고 있으며, 펫보험은 2022 ~ 2032년에 연평균 16.7% 성장할 것으로 추정되며, 국가별 펫보험 가입율은 스웨덴 40%, 영국 20%, 일본 8(‘18), 미국 10(’17) 등이다.

3. 지역별 시장

북미지역이 주도, 아시아·중남미권 신흥시장 부상되고 있으며, 북미(48.9%), 아태(29.6%), 유럽(13.1%), 남미(7.9%) 순으로 시장 점유하고 있다.

주요 60개국 반려동물 개체수는 201616.5억 마리에서 202619.7억 마리로 증가 전망된다.

 

아태·남미권 국가는 고성장률을 보이며 신흥시장으로 성장 중이며, 신흥시장 연평균 성장률 전망은 중국 13.8%, 필리핀 9.1% 브라질 8% 예측된다.

 

4. 수출입

연관산업 성장에 따라 국가 간 교역량도 증가 추세이며, 펫푸드 교역량은 2016202억불에서 2020343억불로 연평균 14.2% 증가되고 있다.

 

반려동물 산업의 국/내외 시장 신성장과 전문화로, 주요 선진국은 동물권과 동물복지 기반으로 산업으로 성장하고, 기술 발전과 디지털 기술이 융합된 반려동물 산업으로 발전하고, 정부 기관과 지자체가 반려동물 산업을 체계적 육성해야 될 것이다.

▲사진=권역별 글로벌 반려동물 연관산업 규모 전망(출처 : 기획재정부) ⓒ강남구 소비자저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