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안양시청
- 오승록
- 창경포럼
- 강남구
- 소비자저널협동조합
- 최규태기자
- 정봉수 칼럼
- 피아노
- 고양시
- 소협
- 강남구 소비자저널
- 안양시
- 전우와함께
- 탁계석 회장
- 강남노무법인
- 용인소비자저널 #최규태기자
- 탁계석
- 안양
- K-클래식
- 강남 소비자저널
- 최규태
- 고양특례시
- 용인소비자저널
- 안양시장
- 케이클래식
- 김포시
- 음악
- 창업경영포럼
- 클래식
- 정봉수 노무사
- Today
- Total
<공식> 창업경영포럼 ESM소비자평가단 대상 소비자저널 보도자료
훈민정음 창제 과정의 조력자들(一) 본문
“이달에 임금이 친히 언문 28자를 지었는데, 그 글자가 옛 전자를 모방하고, 초성·중성·종성으로 나누어 합한 연후에야 글자를 이루었다. 무릇 문자에 관한 것과 이어에 관한 것을 모두 쓸 수 있고, 글자는 비록 간단하고, 요약하지만 전환하는 것이 무궁하니, 이것을 ‘훈민정음’이라고 일렀다.”
이 기록처럼 과연 세종대왕이 혼자서 훈민정음을 창제하였을까? 이 질문은 훈민정음 창제 이후부터 지금까지 의문의 꼬리표를 달고 있는 현재 진행형이다.
그 이유는 아마도 임금이 친히 창제한 훈민정음이라는 엄청난 문화적 업적을 대서특필해도 부족할 터인데, 세종실록 1443년 12월 30일 기사에 두서너 줄로 간단하게 소개한 것 때문에 의문을 갖게 되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훈민정음은 세종실록의 기록처럼 세종 재위 25년 12월 30일에 만들어졌을까? 그것은 그렇지 않았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 다음해에 시작할 언해 사업을 염두에 두고 그 전에 이미 만들어 놓고서 그 발표 시기를 연말에 맞춘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또 12월 한 달 안에 만들었다고 한 것도, 임금이 그동안 이 일 때문에 정사를 소홀히 했다는 인상을 신하들에게 주지 않기 위한 연막일 수도 있을 것이다.
세종이 훈민정음 창제에 열성적으로 몰입했던 시기는 재위 23년 무렵으로 임금과 몇 사람의 조력자 외에는 아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철통같은 보안 속에 아주 은밀하게 진행되었을 것이다. 이렇게 훈민정음 창제 작업이 공개적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고 밀실에서 이루어졌을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는 근거는 훈민정음을 반포한 뒤에 최만리 등 집현전 학사들이 “신하들과 의논도 하지 않았다.”라고 상소문에서 언급한 점을 들 수 있다.
만약 집현전 관원들이 공개적으로 조력하였다면, 집현전 실무책임자였던 집현전 부제학 최만리를 비롯한 신석조, 김문, 정창손, 하위지, 송처검, 조근 등 집현전 최상위층 보수파들이 모를 리가 없었을 것이고, 만약 그들이 알고 있었다면 훈민정음이 창제되기도 전에 이미 반대 운동이 거세게 일어났을 것이다. 그러니 집현전 학사들이나 조정의 벼슬아치들이 이 작업에 참여하지 않았던 것이 확실하다.
사단법인 훈민정음기념사업회 이사장
훈민정음탑건립조직위원회 상임조직위원장
한문교육학박사 박 재 성
'보도자료 및 언론 소비자평가 기본정보 >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정봉수 칼럼] 사용자의 언론의 자유와 부당노동행위와의 관계 (0) | 2021.11.15 |
---|---|
[정봉수 칼럼] 산재 사망사고가 발생하면 사업주는 어떤 조치를 해야 하는가? (0) | 2021.10.31 |
[정봉수 칼럼] 여성보호와 관련한 노동법의 주요 내용 (0) | 2021.10.25 |
[정봉수 칼럼] 수습근로자 해고사건 사례와 시사점 (0) | 2021.10.17 |
[정봉수 칼럼] 저성과자 해고 사례와 교훈 (0) | 2021.10.12 |